우리 대학 화학과 박희성 교수, 이희윤 교수 공동 연구팀이 암과 치매 등 각종 질병을 유발 원인으로 알려진 단백질의 비정상적인변형을 구현할 수 있는 맞춤형 단백질 변형기술을 개발했다.

 

양애린 박사가 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Science)’ 9월 29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고 '가장 중요한 논문(First Release)'에 선정됐다.(논문명 : A chemical biology route to site-specific authentic protein modifications)

 

신체의 기본 단위인 세포는 2만여 종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만들어지는 단백질의 종류는 100만 종 이상으로 추정된다. 이는 단백질이 만들어진 후 다양한 단백질 변형(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단백질 변형의 원인으로는 인산화, 당화, 아세틸화, 메틸화 등 200여 종이 알려져 있으며, 정상적으로 변형된 단백질들은 생체 내에서 세포 신호 전달, 성장 등 정상적인 신진대사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유전적,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비정상적 단백질 변형이 일어나면 세포의 대사활동과 신호전달이 손상돼 세포의 무한 분열을 초래하기도 한다. 각종 암은 물론 치매를 일으키는 퇴행성신경질환 및 당뇨를 포함한 각종 만성질환을 유발한다.

 

 이전에는 이러한 비정상적인 단백질 변형을 구현한 맞춤형 변형 단백질 개발기술이 존재하지 않아 각종 질병의 원인 규명과 맞춤형 신약 개발 연구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팀은 2011년 암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으로 알려진 비정상적인 단백질 번역 후 인산화를 구현하기 위한 맞춤형 인산화 변형 단백질 생산기술을 개발해 사이언스지에 논문을 발표했었다.

 

이번 연구는 지난 2011년의 선행연구 결과를 더욱 발전시켜 인산화 이외에 당화, 아세틸화 등과 같은 다른 200여종의 단백질 변형을 직접 구현해 원하는 변형 단백질을 합성할 수 있는 기술이다.

 

박 교수는 “이 기술을 활용하면 원하는 위치에서 원하는 종류의 맞춤형 변형 단백질 생산이 가능해져 암과 치매 등 단백질 변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의 직접적인 원인을 밝힐 수 있다”며 “신약 및 치료제 개발 속도를 높이고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이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글로벌프론티어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그림. 맞춤형 단백질 변형 기술 개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2 [언론보도]이해신교수, 스페인신문사 LA Vanguardia 게재 file 관리자 2018.11.20 121831
91 [수상] 임미희 교수, 2019년도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 신입회원 선출 file 관리자 2019.05.29 19211
90 [언론보도]이해신 교수, 찔러도 출혈없는 주사바늘 개발 관리자 2016.10.06 15241
89 [기사] 변혜령교수, 2019 JACS Young Investigators Virtual Issue 채택 file 관리자 2019.08.01 14016
88 [수상] 장석복 교수, Yoshida Prize 수상 file 관리자 2016.11.17 9782
87 [언론보도] 임미희 교수, ChemComm Front Cover 논문 선정 file 관리자 2019.05.29 6269
86 [언론보도]유룡 교수, 3차원 그래핀 합성 기술 개발 file 관리자 2016.06.09 2695
85 [수상] 한순규 교수, 한성과학상 수상 file 관리자 2019.06.27 2456
84 [언론보도] 한상우교수, 모양과 속성들의 개발;한상우 교수와의 인터뷰 관리자 2018.10.17 2450
» [언론보도]박희성, 이희윤교수 암, 치매 유발하는 단백실 생산기술 개발 관리자 2016.10.06 2346
82 [수상] 이해신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0월 수상자 선정 file 관리자 2018.10.17 2332
81 [언론보도]이윤호 교수, 니켈 이용 촉매 기술 개발 / Angewandte Chemie Int. Edition 표지논문선정 file 관리자 2017.07.24 2227
80 [수상] 이효철교수, 제12회 경암학술상 수상 file 관리자 2016.11.17 1247
79 [언론보도] 한순규 교수, Thieme Chemistry 사의 Synform과 진행한 Young Career Focus 인터뷰 file 관리자 2018.08.13 1227
78 [수상] 홍승우 교수, 제15회 심상철 학술상 수상 file 관리자 2018.08.13 1009
77 [언론보도] 김현우교수, JOC표지논문 선정 file 관리자 2019.05.29 970
76 [언론보도] 김우연교수, "신약 개발 효율성 높이려면 다양성 갖춰야" file 관리자 2021.02.19 850
75 [수상] 송현준, 임미희교수, 2018년 대한화학회 무기화학분가 연구자상, 젊은 무기화학자상 수상 file 관리자 2018.10.17 764
74 [언론보도] 최인성교수, Advanced Healthcare Materials 편집 자문위원 선정 file 관리자 2018.01.23 758
73 [언론보도]이해신교수, 국제학술지 Biomaterials Science Associated Editor 선정 file 관리자 2017.11.23 574